5-6 문옥주 할머니는 버마에서 부자가 되었다?

‘위안부’들은 꽤 큰 돈을 벌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버마의 위안소로 끌려간 문옥주 할머니가 2만 엔 이상 저금했다는 사실이 근거랍니다. 심지어 2만 몇 천 엔이라면 현재의 가치로는 수십억 원에 해당한다고 떠들어대는 사람까지 있습니다.

그들은 미국의 전시정보국(Office of War Information=OWI)의 보고서 제49호(1944.10.1.)와 동남아시아 번역심문센터(SEATIC)의 보고서(1944.11.30.)에 ‘위안부’의 매상이 월 300엔에서 1500엔 정도였다고 쓰여 있다는 점도 근거로 듭니다.

目次

1 버마에 있었던‘위안부’가 번 돈

이 문제에 대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사실은, 버마에 있었던 ‘위안부’들은 일본 ‘내지’에서 사용되던 엔이 아니라 버마에서 통용되던 군표1 또는 남방개발금고권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남방개발금고권은 엄밀히 말하자면 군표는 아니지만 사실상 군표와 다름 없었고 버마의 일본인들도 현지 주민들도 군표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말레이 반도에서 사용되던 군표

2 ‘위안부’의 월수입

위에서 말한 OWI 보고서에서는 월 최고 매상이 1500엔 정도였다고 하는데, 이건 매상 즉 위안소의 업주가 벌어들인 금액입니다. 매상이 1500엔이었다면 ‘위안부’는 그 절반인 750엔밖에 받지 못했을 테고 또
750엔에서 전차금을 갚아야 했습니다. 실제로 OWI 보고서에는 “많은 업주들은 식료 및 기타 물품 대금으로 위안부들에게 많은 돈을 청구했기 때문에 그녀들은 생활난에 빠져 있었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
러니까 ‘위안부’의 실제 수입은 매우 적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업주의 수탈 외에도 수입이 적을 수밖에 없었던 또 다른 이유가 있었습니다.

3 물가 수준

아시아·태평양전쟁이 시작된 1941년 12월의 물가지수를 100으로 할 경우 그 후의 물가지수는 [표1]과 같이 바뀌었습니다.

[표1] 일본은행 통계(1941년 12월을 100으로 했을 때의 수치)
도쿄 버마 랑군 싱가포르 바타비아

(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1944.6 121 3,635 4,469 1,279
1945.8 156 185,648 35,000 3,197

(* 安藤良雄 編,『近代日本経済史要覧』、岩武照彦,『南方軍政下の経済施策(下)』에서 작성.)

2-1-13c 本2 圧縮

1942년도 군표가 발행되는 단계에서는 1루피(버마)=1달러(말라야)=1엔(‘내지’)으로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버마의 루피와 ‘내지’의 엔의 가치가 같았던 겁니다. 그런데 OWI 보고서에 나오는 ‘위안부’ 피해자들이 포로가 된 1944년 8월 10일 시점이 되면 상황은 크게 바뀝니다. 두 달 전인 6월 버마 물가가 인플레로 인해 도쿄의 약 30배로 부풀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위안부’들이 최고액인 750엔을 받았다 하더라도 도쿄의 화폐가치로 환산하면 750엔÷30=25엔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여기서 전차금을 갚아야 했고 그 나머지 액수에서 또다시 식료대금 등의 명목으로 고액의 돈을 지불해야 했으니 생활난에 빠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4 문옥주 할머니의 경우

문옥주 할머니가 2만 엔 이상 저금했다고 하는데 그 돈의 대부분은 장교에게서 받은 팁이었습니다. 할머니는 업주가 돈을 주지 않았다고 합니다. 저금 내역을 보면 1945년 4월에 10,560엔, 1945년 5월 10,000엔 등 대부분이 1945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전쟁이 끝났을 때, 도쿄의 물가가 1.5배 상승에 그쳤던 것에 비해 버마는 1800배까지 올랐습니다. 도쿄보다 1200배나 높은 상승율의 인플레였던 것입니다. 그러니까 버마에서 모은 2만 몇천 엔의 실제 가치
는 1200분의 1, 즉 20엔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버마는 일본의 점령지 중에서도 가장 인플레가 심한 지역이었습니다(아래 그래프 참조).

2-1-13a グラフ

5 일상용품의 가격

참고로 당시 버마의 일상용품의 가격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1945년 초의 물가는 표2와 같았습니다.

[표2] 버마 일상용품의 가격(1945년 초)

커피 1잔 5루피
정장 1벌 10,000루피
셔츠 1장 300~400루피
비단 론지 11벌(버마의 전통의상) 7,000~8,000루피

太田常蔵,『ビルマにおける日本軍政史の研究』, 吉川弘文館, 1967 참조.

게다가 이때부터 인플레가 더욱 심해졌으니 2만 엔으로는 정장 한 벌도 못 샀을 것입니다. 그리고 오타 쓰네조는 1945년 3월에 버마의 만달레이가 함락된 후에는 “군표의 가치가 거의 없어지고 말았다”라고 합니다.2 문옥주 할머니는 이미 군표의 가치가 거의 없어진 시기인 1945년 4, 5월에 장교들에게서 군표를 받아 저금
한 것입니다.

다른 지역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버마만큼은 아니었지만, 일본군이 점령했던 동남아시아 각지는 모두 극심한 인플레를 겪었기 때문에 현지의 경제가 파괴되었음은 쉬이 추측할 수 있습니다.

 

[표3] 싱가포르의 물품 가격

쌀 6kg 1942.12    $5 1945.8     $750
손목시계 1942.12  $85 1945.8  $10,000

* 싱가포르 중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작성.

2-1-13b 本1 圧縮

小林英夫,『日本軍政下のアジア―「大東亜共栄圏」と軍票』, 岩波新書, 1993, 179쪽.

싱가포르의 물가는 표3과 같습니다. 한 장교의 회상에 따르면 수마트라에서는 장교의 한 달 월급으로는 100엔짜리 라면 한 그릇밖에 못 사 먹었다고 합니다.3

6 버마에서 저금한 돈은?

앞서 말했듯이 점령지의 화폐가치는 처음에 엔과 같은 가치로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동남아시아의 일본군 점령지와 같이 인플레가 심한 지역의 돈을 등가로 엔으로 바꾸면 1년에 수백 퍼센트 이상 물가가 상승하는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서 ‘내지’와 조선에 큰 파급을 불러올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본은 이를 규제하기 위해 송금액의 제한, 강제 현지 예금제도, 조정금 징수제도, 예금 동결조치 등을 도입하여 이들 지역의 인플레가 ‘내지’와 조선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했습니다.4 즉 버마에서 많은 돈을 저금해서 모았다고 하더라도 그 저금액을 그대로 일본 엔으로 교환할 수 없었고, 일본이 패전함으로써 군표도 남방개발 금고권도 휴지조각이 되고 말았습니다.

따라서 버마의 사례를 들어 ‘위안부’는 돈을 벌었다, 문옥주 할머니는 현재의 가치로 치면 수억 엔이나 되는 큰 돈을 번 부자였다라고 하는 말은 점령지의 경제상황을 무시한, 허무맹랑한 이야기에 불과합니
다. 점령지의 인플레가 얼마나 극심했는지는 조금만 찾아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도 말입니다.

  1. 군표란, 전쟁 때 타국 영토를 침공한 군대가 현지에서 발행하는 통화를 가리키며 군용수표의 줄임말이다. 아시아·태평양전쟁 때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에서 일본군이 엄청난 양의 군표를 발행하는 바람에 극심한 인플레가 일어났다. 결국 일본이 패전한 후 이 군표들은 휴지 조각이 되고 말았다.
  2. 太田常蔵,『ビルマにおける日本軍政史の研究』, 吉川弘文館, 1967.
  3. 小林英夫,『日本軍政下のアジア―「大東亜共栄圏」と軍票』, 岩波新書, 1993, 179쪽.『証言集―日本占領下のインドネシア』, インドネシア日本占領期史料フォーラム, 龍渓書舎, 1991.
  4. 堀和生,「東アジア歴史認識の壁」,『京大東アジアセンターニュースレター』555호, 2015.2.2.참조.
目次